자료구조 배열과 링크드리스트
목차
- 배열
- 링크드리스트
- 배열과 링크드리스트의 차이점
1. 배열(Array)
- 정적 자료구조
- 입력된 데이터들이 메모리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구조
- 배열의 크기는 처음 생성할 때 정하며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음 → 해당 배열 크기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음
- 메모리 상에서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특징을 갖기 째문에, index를 통한 임의 접근이 가능 → 접근과 탐색에 용이함
- 저장시 주로 사용 Ex. 바구니(안의 정보는 일렬로 줄이 세워져 있음)
시간 복잡도
- 탐색 : O(1). 단, 접근하고자 하는 인덱스를 알고 있어야 한다. 순차적으로 탐색시에는 O(n).
- 삽입 / 삭제 :
- 배열의 처음 또는 중간에 삽입 및 삭제 : O(n) (삽입 지점 이후의 데이터를 옮겨야 하기 때문)
- 배열의 끝에 삽입 및 삭제 : O(1)
2. 링크드리스트(Linked List)
- 여러 개의 노드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자료구조
- 첫번째 노드 : head
- 마지막 노드 : tail
-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이루어져 있음
-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면에서 불리할 수도 있으나, 노드가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삽입, 삭제에 용이함
Tree 구조의 근간이 되는 자료구조
시간 복잡도
- 탐색 : O(n)
- 삽입 / 삭제: 삽입과 삭제 자체는 O(1)이다.
- 연결 리스트의 처음에 삽입/삭제 : O(1)
- 연결 리스트의 중간에 삽입/삭제 : O(n) (탐색시간 소요)
- 연결 리스트의 끝에 삽입/삭제 :
- 끝을 가리키는 별도의 포인터를 갖는 경우 : O(1)
- 끝을 가리키는 별도의 포인터를 갖지 않는 경우 : O(n) (탐색시간 소요)
- 이중 연결 리스트
- 전/후로 탐색이 가능한 구조
-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노드 탐색이 양쪽으로 모두 가능
- 이중 연결 리스트의 노드는 데이터, 이전 노드의 주소와 다음 노드의 주소를 저장
- 이중 연결 리스트에서는 얻고자 하는 데이터의 위치가 tail에 가깝다면 tail에서부터 역방향으로 탐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음 Ex. 음악 플레이어 앱(이전 곡과 다음 곡이 연결), 포토샵의 history(이전 작업으로 돌아가기)
- 원형 연결 리스트
- 단순 연결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가 null을 가리키는 게 아닌, 처음 노드를 가리키는 구조
(head에서부터 순회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다보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는 구조) - 이중 연결 리스트도 마지막 노드가 처음 노드를 가리키는 구조가 되면, 이를 이중 원형 연결 리스트라고 함
- 모든 노드가 원의 형태를 이루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 연결 리스트에서는 사실상 머리와 꼬리의 구분이 없음
- 단순 연결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가 null을 가리키는 게 아닌, 처음 노드를 가리키는 구조
3. 배열과 링크드리스트의 차이점
배열 | 연결리스트 |
---|---|
정적 자료구조 | 동적 자료구조 |
미리 정해진 크기 | 크기를 정할 필요 X |
연속된 메모리 주소 할당받음 | 연속된 메모리 주소 할당 X |
접근, 탐색 용이 | 추가, 삭제 용이 |
index 존재 | node 존재 |
출처